본문 바로가기

민사

종전 구분건물에 유치권자가 있는 경우, 구분폐지가 가능한지 여부

이번 사건은 아파트 신축분양사업을 추진하던 시행사가

각각의 구분건물에 대하여 분양계약을 체결한 다음

공사를 진행하다가 부도로 인하여 공사를 중단했는데,

공사 중단시 이미 공정률이 65.5%로서

구분된 각 부분이 구조상이용상의 독립성을 갖추었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그 무렵 이미 해당 건물에 구분소유권이 성립하였으나,

이후 00주택보증이 수분양자들 전원에게 분양대금 전액을 환급하여 준 다음

시행사를 대위하여 1동 건물의 전체를 1개의 건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습니다.

그런데 이전에 종전 구분건물에 유치권자가 있어,

위와 같이 1동 건물의 전체를 1개의 건물로 등기함으로써

구분폐지가 가능한지 여부가 이 사건의 쟁점이었습니다.  

 

대법원은 이에 대해 "1동 건물의 구분된 각 부분이 구조상이용상 독립성을 가지는 경우

각 부분을 구분건물로 할지 그 1동 전체를 1개의 건물로 할지는

소유자의 의사에 의하여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구분건물이 물리적으로 완성되기 전에 분양계약 등을 통하여

장래 신축되는 건물을 구분건물로 하겠다는 구분의사를 표시함으로써 구분행위를 한 다음

1동의 건물 및 그 구분행위에 상응하는 구분건물이 객관적물리적으로 완성되면

그 시점에서 구분소유가 성립하지만,

이후 소유권자가 분양계약을 전부 해지하고

1동 건물의 전체를 1개의 건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쳤다면

이는 구분폐지행위를 한 것으로서

이로 인하여 구분소유권은 소멸한다.

그리고 이러한 법리는 구분폐지가 있기 전에 개개의 구분건물에 대하여

유치권이 성립한 경우라 하여 달리 볼 것은 아니다

(대법원 2016. 01. 14. 선고 2013219142 판결)."라고 하면서

구분소유의 소멸이 가능하다고 판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