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주행 중 자동차 엔진이 파열되는 사고가 났다면 차량 점검 당시 엔진오일 부족 등 위험성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은 정비업체에도 30%의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38단독 박대산 판사는 이모씨가 자동차정비업체를 운영하는 A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2015가단5303563)에서 "A사는 180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최근 원고일부승소 판결했습니다.
*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좀 더 상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법률신문
https://www.lawtimes.co.kr/Legal-News/Legal-News-View?serial=123077
'법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윤경 국회의원, 채무자대리인제도 확대·채권 재양도 금지 위한 채권추심법 개정안 발의 (0) | 2018.03.26 |
---|---|
서울행정법원, 격무 시달리다 뇌종양 발병 소방관 공무상 질병 인정 (0) | 2017.12.01 |
"전문공사 위한 하도급 적법", 건설산업기본법의 금지 규정은 동종업종 한해 (0) | 2017.11.30 |
대법원, “무속인 아니면서 돈 받고 귀신쫓는 기도해도 사기죄” (0) | 2017.11.30 |
서울행정법원, "별장에 1가구2주택 양도세 부과는 잘못" (0) | 2017.11.30 |